시가총액 기준 세계 최대 기업 TOP3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10대 기업들은 기술, 통신 서비스, 에너지, 전기차,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시장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 기준 세계 10대 기업과 번외로 삼성전자, 일본기업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목차]
- 시가총액기준
- 1. 애플 (AAPL)
- 2. 마이크로소프트 (MSFT)
- 3.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회사 : 아람코
- 4. 알파벳 (GUGL)
- 5. 아마존 닷컴 (AMZN)
- 6. 테슬라 (TSLA)
- 7. 메타 플랫폼 (FB)
- 8. 엔비디아 (NVDA)
- 9. 버크셔 해서웨이 (BRK)A)
- 10. 대만 반도체 제조업(TSMC)
- 국내기업 : 삼성전자
- 일본기업 : 도요타 소니 키엔스
시가 총액 기준
- 글로벌 시가총액 순위 : companiesmarketcap.com
기업의 시가총액은 발행주식 총수에 단일 주식의 현재 시장 가격을 곱하여 계산한다.
상위 10위 안에 드는 기업의 대다수는 연간 수천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연간 1,000억 달러 미만의 수익을 내는 소수의 기업들이 있어 투자자들은 이 회사들의 잠재 성장성을 다른 빅테크 기업들에 비해 낙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회사의 총수익률을 제외한 아래의 매출과 순이익은 TTM(Trailing Twelve Months)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회사의 총수익률은 트레이딩 뷰(TradeView)를 참고했으며, 사우디 리얄즈(liyals) 1달러~3.75달러의 환율을 이용했습니다.
1. 애플 주식회사 (AAPL)
- 시가총액: 2조 7천억 달러 (약 3,301조 원)
- 매출(TTM): 3,658억 달러
- 순이익(TTM): 1,118억 달러
- 상장 거래소 : 나스닥
애플은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홈 엔터테인먼트 기기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소비자 기술 제품과 디자인,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가장 인기 있는 제품으로는 아이폰과 맥 컴퓨터가 있으며, 지난 10년간 IT제품으로 매출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스토어를 운영하고, 클라우드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최근 온디맨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인 애플+를 출시했다.
2. 마이크로소프트 (MSFT)
- 시가총액: 2조 2천억 달러 (약 2,643조 원)
- 매출(TTM): 1849억 달러
- 순이익(TTM): 819억 달러
- 상장 거래소: 나스닥
마이크로소프트는 소프트웨어, 장치, 솔루션 및 서비스의 글로벌 개발자 및 라이센스 제공자다.
이 회사는 윈도우와 오피스 스위트 소프트웨어로 잘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 수익과 매출에서 점점 더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글라우드 서비스 시장 선도업체 중 하나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은 Azure라고 불린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구직자들을 위한 인기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인 링크드인을 소유하고 운영하기도 한다.
3.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회사 : 아람코
- 시가총액 1조 9800억 달러
- (SR) 매출(TTM): 3,288억 달러
- 순이익(TTM): 1,751억 달러
- 상장 거래소 : 다다울 (사우디 증권거래소)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로 더 잘 알려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는 사우디에 본사를 둔 통합 석유 가스 회사다.
원유사업에 있어 상류와 하류 모든 것들에 관여한 사업을 하고 있다. 상류 부문은 원유, 응축수, 천연가스, 천연가스 액체(NGL)의 탐사 및 생산 하류 부문은 정유·석유화학 제조·유통·발전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사우디 아람코는 아로마틱스, 올레핀 등의 제품과 합성고무 등 복합제품을 만드는 화학사업도 운영하고 있다.
4. 알파벳 주식회사 (GUGL)
- 시가총액: 1조 7730억 달러
- 매출(TTM): 2,392억 달러
- 순이익(TTM): 853억 달러
- 상장 거래소: 나스닥
알파벳은 구글의 모체로 그들의 검색엔진이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이 회사는 검색,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운영체제, 크롬 브라우저, 지메일 이메일 서비스, 구글 드라이브 온라인 파일 저장 플랫폼, 구글 맵, 구글 포토,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 유튜브 등 다양한 기술과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글 클라우드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 개발자가 다양한 업무 공간 협업 툴은 물론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다. 알파벳은 자율주행차 비즈니스 웨이모 등 신흥 사업체가 포함된 기타베츠 부문도 운영하고 있다.
5. 아마존 닷컴 (AMZN)
- 시가총액 1조 5,600억 달러
- 매출(TTM): 4580억
- 달러 순이익(TTM): 327억 달러
- 상장 거래소: 나스닥
아마존닷컴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소매업체로 세계 최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업 체다. 전자상거래 사업은 판매업자로부터 재판매를 위해 구매하는 상품 및 콘텐츠와 제삼자 판매자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포함한다.
아마존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빠르게 성장하는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 사업 등 다양한 구독 서비스와 웹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한 킨들 전자책 리더, 파이어 태블릿, 파이어 TV, 에코, 알렉사 등의 전자기기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아마존은 자회사인 홀푸드마켓을 통해 식료품을 판매한다.
6. 테슬라 (TSLA)
- 시가총액 8,720억 달러
- 매출(TTM): 469억 달러
- 순이익(TTM): 46억 달러
- 상장 거래소: 나스닥
테슬라는 전기자동차(EV)의 선두 제조사다. 이 회사의 차량 모델에는 4 도어 중형 세단 모델 3과 7명의 성인이 탑승할 수 있는 소형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모델 Y, 4 도어 중형 세단 모델 S, 최대 7명의 성인이 탑승할 수 있는 중형 SUV 모델 X가 포함된다. 테슬라는 태양 전지판도 생산하고 태양광 발전도 제공하며 에너지 저장 제품도 공급한다.
이 회사의 계획에는 사이버트럭과 상용 EV인 테슬라 세미 개발 및 제조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2022년 출시는 어렵다.
7. 버크셔 해서웨이 (BRK) A)
- 시가총액: 7,130억 달러
- 매출(TTM): 3461억 달러
- 순이익(TTTM): 1,123억 달러
- 상장 거래소: 뉴욕증권거래소(NYSE)
버크셔 해서웨이는 보험, 화물철도 운송, 소매업, 유틸리티 및 에너지 생성과 유통 등 다양한 사업 활동에 종사하는 자회사들을 대거 소유하고 있다. 산업용, 건설용, 소비자를 위한 제품을 만드는 제조사업도 운영하고 있다.
8. 메타 플랫폼 (FB)
- 시가총액: 6270억 달러
- 매출(TTM): 1,123억 달러
- 순이익(TTM): 469억 달러
- 상장 거래소: 나스닥
메타 플랫폼은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네트워크인 페이스북의 소유주다.
메타(Meta)는 개인과 기업이 모바일 기기, 개인용 컴퓨터, 가상현실(VR) 헤드셋, 가정 내 기기를 통해 가족 및 친구와 연결할 수 있는 제품 및 디지털 플랫폼을 제공한다. Facebook 외에도 사진 공유 앱인 인스타그램과 메신저와 왓츠앱은 두 개의 별도 메시징 앱이다.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제품을 제공하는 페이스북 리얼리티 랩도 운영하고 있다. 메타도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게임, 증강현실(AR), VR, 가상화폐와 결합된 확장형 가상세계인 메타버스(Metaverse) 투자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4분기 실적 하향에 최근 주가가 급락하며 TSMC에게 추월당할 것으로 추측된다.
9. 대만 반도체 제조기업 : TSMC
- 시가총액: 6,275억 달러
- 매출(TTM): 538억 달러
- 순이익(TTM): 231억 달러
- 상장 거래소: NYSE
대만 반도체 제조(TSMC)는 대만에 본사를 둔 회사로 반도체 파운드리(foundry foundry)로 운영되고 있다.
이 회사는 고객이 제공하는 독점적인 집적회로 설계를 바탕으로 실리콘 웨이퍼에 다양한 종류의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다. TSMC의 반도체는 PC와 주변기기 제품, 정보 애플리케이션, 유무선 통신 시스템, 산업 장비, 디지털 TV, 게임 콘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사용된다.
10. 엔비디아 (NVDA)
- 시가총액: 5,680억 달러
- 매출(TTM): 243억 달러
- 순이익(TTM): 87억 달러
- 상장 거래소: 나스닥
NVIDIA는 그래픽 프로세서와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초기 응용 프로그램이 PC 그래픽과 비디오 게임에 있었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개발의 선구자였다. GPU의 기능은 이제 AI와 기계학습 응용 프로그램에 활용되고 있다.
이 회사는 게임, 전문 시각화, 데이터 센터 및 자동차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으로 구성된 제품과 플랫폼을 제공한다.
국내기업 : 삼성전자
- 마켓캡 기준 시가총액 순위 : 16위
- 시가총액 : 3,725억 달러 (447조 1,367억 원)
- 2021년 연간 매출(잠정): 2,320 달러 (279조 원)
- 2021년 연간 순이익(잠정): 425억 달러 (51조 원)
- 상장 거래소 : 코스피
실적으로 봤을 때 사실상 아쉬운 순위이며,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말이 어느 정도 와닿는다. 다만 국내외 경제, 외교, 분단 상황, 경제정책 등 기타 여러 가지 악조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20위권에 속하는 삼성전자가 대단한 기업임에는 틀림없다.
한편 지난 1월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은 157위를 기록중이다.
참고 : 컴퍼니스마켓캡의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삼성전자 우선주와 합산한 시가총액 이다.
일본기업 : 도요타 소니 키엔스
- 도요타는 31위를 차지하며 일본 기업으로 가장 높은 시가총액을 보유한 기업이다.
- 소니는 101위로 과거에 비해 다소 아쉬운 순위 이다.
- 키엔스는 112위로 공장 자동화에 필요한 센서와 측정기등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또한 일본내 평균연봉 1위로 고된 업무로 유명하며, 영업이익률 50%, 신제품의 70%는 세계최초일 정도로 유망하다. 2021년 한때 소니의 시가 총액을 제치며 2위를 기록한적이 있다.
* 해당 순위는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미국 해외 주식 거래시간 : 서머타임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뜻 총정리
미국 해외 주식 거래시간 : 서머타임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뜻 총정리
미국 증시 및 해외 주식 거래시간과 서머타임,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뜻과 적용시간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목차] 서머타임 뜻 프리마켓 뜻 애프터마켓 뜻 해외 주식 거래시간 미국, 캐나다 주식
swanst.tistory.com
2021년 4분기 미국 주요기업 실적발표 일정 : 220228까지
2021년 4분기 미국 주요 기업 실적발표 일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목차] 1월 4주차 미국 실적발표일정 2월 1주차 미국 실적발표일정 2월 2주차 미국 실적발표일정 2월 3주차 미국 실적발표일정 2
swanst.tistory.com
미국 연준(Fed) 양적긴축 : 미국과 국내 증시 영향
미국 연준(Fed) 양적긴축 : 미국과 국내 증시 영향
2021년 11월 4일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테이퍼링의 시작으로 양적완화의 종료를 알렸는데요. 25일부터 26일까지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양적 긴축 단계로 진입할 것
swanst.tistory.com
메타 트위터 텐센트 라인 카카오 코인 : SNS 블록체인 플랫폼
메타 트위터 텐센트 라인 카카오 코인 : SNS 블록체인 플랫폼
메타(페이스북), 트위터, 텐센트, 라인, 카카오는 글로벌 시장에서 5대 메신저로 수십억 명의 사용자로 구성된 피드와 엄청난 자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NS 기업들이 웹3.0 전환을 시도하기 위한
swanst.tistory.com
본 내용은 현재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내용들이 추측 정보이며 해당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닙니다.
'글로벌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유 석유 에너지 관련주 수혜주 15종목 총정리 (1) | 2022.02.14 |
---|---|
오늘의 주식 시황 & 상한가 하한가 종목 : 220214 (1) | 2022.02.14 |
HMM 전환사채와 지분구조 (0) | 2022.02.11 |
오늘의 주식 시황 & 상한가 하한가 종목 : 220210 (0) | 2022.02.10 |
위메이드 악재 3가지 (0) | 2022.02.10 |
댓글